지구는 차갑게, 사람은 따뜻하게! 지소행의 비전: 기후취약계층 커피박 연료 지원

2025-06-24

"지구는 차갑게, 사람은 따뜻하게! 지소행의 비전: 기후취약계층 커피박 연료 지원"


안녕하세요, 지소행은 각지에서 커피박 재자원화 사업을 펼치고 있습니다. 다만, 아직까지는 1차 수거에 국한되어 있습니다. 커피박 재활용률이 낮은 근본적인 문제는 재활용 제품의 부가가치가 낮기 때문입니다. 현재 대부분 퇴비로만 활용되고 있는데, 장기적으로는 높은 부가가치를 가진 제품이 등장해야 하고, 대규모로 소비가 가능해야 합니다. 지소행은 이를 위해 커피박을 난방 연료화하여 이를 기후취약계층에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순환 구조를 만들고자 합니다. "지구는 차갑게, 사람은 따뜻하게!"



커피박: 버려지면 오염원, 사용되면 순환 경제의 귀중한 자원

우리가 매일 마시는 커피 한 잔을 내릴 때 원두의 0.2%만 커피로 추출되고, 나머지 99.8%는 찌꺼기 형태로 수분을 머금은 채 떨어집니다. 대한민국에서 한 해 커피박 발생량은 약 34만 톤으로 추정되며, 커피박 재활용률은 10%가 채 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대부분의 커피박이 소각·매립되며 이산화탄소와 메탄가스를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기후 위기 시대에 순환 경제의 핵심 원칙에 따라 귀중한 자원으로 재탄생할 필요가 있습니다.

커피박은 버려지면 탄소 발생원이지만, 잘 활용한다면 잠재력이 무궁무진한 친환경 에너지원입니다. 커피박의 발열량은 4,540 Kcal/kg으로, 목재 펠릿보다 열량이 높고 연탄과도 유사한 수준입니다. 즉, 커피박은 충분히 난방 연료로 활용될 수 있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회적협동조합 자원과순환 커피박펠릿난로 샘플


커피박 펠릿,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떻게 사용될까요?

그렇다면 이 커피박이 어떻게 난방 연료로 변신하는 걸까요? 바로 펠릿(Pellet) 형태로 가공하는 것입니다. 커피박은 표준 펠릿 제조 장비를 통해 작은 원통형의 펠릿으로 만들어집니다. 물론, 펠릿의 강도와 연소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른 바이오매스나 소량의 결합제를 첨가하기도 합니다. 이 펠릿은 전용 난로에서 효율적으로 연소될 수 있습니다. 완전 연소에 가까워 재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연탄가스와 연탄재로 인한 어르신들의 난방 편의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국내외에서는 이미 커피박 펠릿의 성공적인 적용 사례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동서발전에서는 커피박 펠릿을 바이오매스 연료로 사용하기 위한 연소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고, ENF에너지에서는 커피박 펠릿 캠핑용 연료를 상용화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외국에서는 영국의 바이오-빈(Bio-bean)이 폐커피박으로 난방용 고체 연료와 바이오디젤을 생산하고 있으며, 네덜란드의 야콥스 더웨 에그버츠(Jacobs Douwe Egberts)는 공장 보일러에 커피박을 재사용하여 가스 소비를 크게 줄였습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커피박 펠릿이 충분히 기술적으로, 그리고 경제적으로 실현 가능한 친환경 에너지원임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영국 바이오빈(bio-bean)의 커피박연료


다만, 가정용 연료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기술적으로 어르신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한 안전하고 쉬운 초기 점화, 유분으로 인한 지속성 등의 문제들이 해결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지소행은 (사)따뜻한 한반도 사랑의 연탄나눔운동, 사회적협동조합 자원과순환 등과 함께 컨소시엄으로 커피박 펠릿과 전용 난로를 개발 중에 있으며, 커피박 수거 체계 구축, 커피박 펠릿의 기후취약계층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왜 커피박 펠릿이 기후취약계층에게 필요할까요?

기후변화는 저소득층, 노인층 등 취약 계층에 더 큰 영향을 미치며, 이들에게 적절한 난방은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입니다. 에너지 복지에는 세 가지 카테고리가 있는데, 첫째 난방 연료 지원(연탄, 등유 등), 둘째 에너지 효율 개선, 셋째 에너지 전환(태양광, 친환경 연료 등)입니다. 커피박 펠릿은 가장 상위인 셋째 '에너지 전환'에 해당합니다. 도시가스가 들어가지 않는 도시-농촌 지역의 에너지 취약계층(등유, LPG 가스 사용 가구 등)에게 적정하고 친환경적인 연료로 기능합니다.

결론적으로, 커피박 펠릿은 지속 가능하고 지역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난방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화석 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지역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활용하여 에너지 빈곤을 해소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환경 보호와 사회적 가치 증진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진정한 ESG의 실천이 될 것입니다.


지소행은 (사)따뜻한 한반도 사랑의 연탄나눔운동으로부터 '순환 경제 기반 기후취약계층 난방 지원 연구_커피박 펠릿 연료의 가능성과 적용 방안' 연구 용역 사업을 받아 수행 중입니다. 국내 커피박 발생량과 재활용량, 재활용처 데이터를 취합 정리하고, 연료로서의 가능성을 심도 있게 조사할 예정입니다. 탄소를 가장 적게 발생시키는 기후취약계층 어르신들이 따뜻한 겨울을 날 수 있도록 지소행의 새로운 여정을 응원해주세요. 고맙습니다.

글 : 이사장 장한우리

지구를지키는소소한행동 사회적협동조합  


환경부 인가 사회적협동조합

(제22-1480-SO-1642호) 

고용노동부형 예비사회적기업

(기타 창의혁신형, 제2023-061호) 

통신판매신고번호

(제2024-서울중구-1457호)

폐기물수집·운반허가업 허가번호

(제2024-3호, 서울시 중구)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로1길 10-6, 2층 (필동3가, 하제의숲)

대표: 장한우리   사업자등록번호 : 355-82-00513

전화번호 : 02-2285-1220

이메일 : savingearthu@naver.com

후원계좌 

예금주: 지구를지키는소소한행동 사회적협동조합

계좌: 우리은행 1005-304-435881

© 지구를지키는소소한행동 사회적협동조합. 

All rights Reserved. SITE BY 스튜디오산책


지구를지키는소소한행동 사회적협동조합  


환경부 인가 사회적협동조합 (제22-1480-SO-1642호) 

고용노동부형 예비사회적기업 (기타 창의혁신형, 제2023-061호)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로1길 10-6, 2층 (필동3가, 하제의숲)


대표: 장한우리   사업자등록번호 : 355-82-00513

전화번호 : 02-2285-1220

이메일 : savingearthu@naver.com

통신판매신고번호: 제2024-서울중구-1457호

폐기물수집·운반허가업 허가번호: 제2024-3호 (서울시 중구)

후원계좌

예금주: 지구를지키는소소한행동 사회적협동조합

계좌: 우리은행 1005-304-435881